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분석

농업은 생명 및 에너지 산업으로 확장된다.

by 피터.A 2017. 11. 13.

농업은 생명 및 에너지 산업으로 확장된다.




우리나라는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위치하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식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는 유전 자원 산업은 원형을 가공한 제 1세대 활용 형태에서 건강식품, 세제, 화장품, 환경 정화 등의 제 2세대 형태로 발전했으며, 최근에는 질병 예방, 생체 조절물질, 산업 효소, 생물 촉매제 등의 제 3세대 활용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동물 자원 분야에서는 가축 개량, 동물 제품(이종 장기, 줄기세포), 동물 의약품, 천적 곤충 등이, 미생물 자원 분야에서는 발효 미생물, 토양 미생물, 미세조류 등이 각광받고 있다.








바이오매스[각주:1]를 원료(옥수수, 콩, 사탕수수, 목재류 등)로 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각주:2]도 미래 농업 성장 분야이다. 향후 바이오리파이너리 관련 기술은 더욱 빠르게 진화할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 리파이너리 방식의 농업 분야 적용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와 환경의 질 개선을 극대화하는 완전한 바이오 농업이 실현될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대체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해외 농업 개발의 중요성도 점점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해외 농업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원 확보와 농업 협력을 종합 패키지화함으로써 상대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해나갈 수 있으며, 아울러 개발도상국에 우리의 농업 발전과 농촌 개발의 경험을 전수하면서 지구촌이 공존, 공영하는 지혜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미래학자들은 농업을 선진국형 산업이라고 부른다. 연구, 개발과 인적 자본의 역량이 발휘되는 기술 혁신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 농업도 후방 관련 산업으로 종자, 농기계 장비, 종자재 농업 정보 등의 발전 가능성이 크며, 전방 관련 산업으로 포장, 유통, 가공, 외식, 마케팅, 서비스업 등의 잠재력도 크다. 


나아가 기후, 환경 산업, 농생명 산업, 바이오에너지 산업, 농촌 문화 관광 산업 등은 오업과 연계해 미래를 열어줄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이 컨텐츠는 구독자분들의 광고 수익으로 만들어집니다.






  1. 화학적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 즉 바이오에너지의 에너지원을 의미하며, 생태학적으로 단위 시간 및 공간 내에 존재하는 특정 생물체의 중량 또는 에너지량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문으로]
  2. 기존 화석연료가 아닌 친환경적인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 제품 등을 생산하는 기술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