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지소로스, 그는 좋은 인물인가? (오픈소사이어티)

by 피터.A 2025. 3. 28.

 

 

 

오픈소사이어티는?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 (Open Society Foundations, OSF)**은 조지 소로스가 설립한 자선 단체로,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 인권, 공정한 법치, 교육, 언론의 자유, 사회적 평등 등을 지지하는 활동을 합니다. 소로스는 이 재단을 통해 사회의 정의를 증진시키고,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습니다. OSF는 그가 고백한 '열린 사회'(Open Society) 철학을 바탕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픈 소사이어티의 주요 활동과 가치

  1. 민주주의와 정치적 자유
    •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은 민주적 가치와 자유를 증진시키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선거의 공정성, 정부의 투명성, 시민들의 자유로운 참여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예를 들어, OSF는 여러 나라에서 공정한 선거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권위주의적인 정부에 의해 억압받고 있는 지역에서 민주주의를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2. 인권과 사회적 평등
    • 인권은 오픈 소사이어티의 핵심적인 가치 중 하나로, OSF는 전 세계적으로 인권 침해를 방지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합니다.
    • 특히, 성소수자, 여성, 이민자, 난민 등의 취약한 집단의 권리 보호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법치와 공정한 사법 시스템
    • 법치주의를 강화하고, 공정한 사법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활동도 중요합니다. 이는 부패한 정부나 사법 시스템에서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활동을 포함합니다.
    • OSF는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무료 법률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사법 개혁을 위한 캠페인을 지원합니다.
  4. 언론의 자유와 정보의 접근
    • 자유로운 언론 환경을 지지하며, 독립적인 미디어를 지원하는 것도 주요한 활동입니다. 오픈 소사이어티는 언론인들이 공정하고 자유롭게 취재할 수 있도록 돕고, 정보의 흐름이 차단되는 국가에서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진합니다.
    • 예를 들어, OSF는 독립적인 뉴스 매체를 지원하고, 언론인들이 권력의 압박 없이 보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5. 교육과 학문적 자유
    •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은 교육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고등 교육과 학문적 자유를 증진시키고, 더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장학금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특히,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 등지에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대학생들에게 글로벌적인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6. 경제적 정의와 사회적 책임
    • 경제적 평등과 사회적 정의는 OSF의 또 다른 중요한 가치입니다. 이들은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적으로 배제된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적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예를 들어, 빈곤층이나 소외된 계층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소액 대출, 일자리 창출,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오픈 소사이어티의 철학: 열린 사회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의 철학은 **'열린 사회(Open Society)'**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열린 사회'는 카를 포퍼(Karl Popper)라는 철학자가 제시한 개념으로, 민주적 가치, 개인의 자유, 다원성, 비판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사회를 의미합니다. 포퍼는 열린 사회가 고정된 권위나 독재에 의존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개선되고 변화하는 사회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 열린 사회는 각 개인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사회입니다.
  • 다양성의 존중: 열린 사회는 다양한 관점과 신념을 존중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냅니다.
  • 비판적 사고와 대화: 열린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론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은 민주주의, 인권, 법치, 언론의 자유 등을 핵심 가치로 삼고, 이러한 가치를 전 세계에서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조지 소로스는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더 공정하고 열린 사회를 구축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재단은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적 변화와 발전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일부 지역에서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는 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LIE (거짓말)


GPT는 겉으로 보여주는 것 밖에는 설명을 못하는 것 같네요. 

하지만 위의 내용만으로도 반기독교적이며, 근본주의 신학에서 벗어난 자유주의 성향이 있음을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천주교에서 약자를 배려하는 것처럼 하면서, 잘못된 사상(즉, 예수님 이외의 구원이 있음을 강조하는 행위, 마리아 숭배)이 주입되는 느낌이에요.

 

https://www.epochtimes.kr/2021/07/590992.html

 

조지 소로스, 경찰 예산삭감 운동에 100만 달러 기부 – 에포크타임스

미국 전역에서 강력범죄가 급증하는 가운데 금융 거물 조지 소로스가 경찰 예산 삭감 운동을 지원하는 단체에 거액을 기부했다고 워싱턴 프리비컨이 보도했다. 매체는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

www.epochtimes.kr

반정부적인 행동을 보이는 그의 기부 - 왜 경찰 예산을 삭감하길 원하죠? 

 

 

지난해 6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경찰 예산 삭감 시위에 참석했다. | The Canadian Press/Nathan Denette

 

자녀를 교육하고 아픈 사람들을 돌보며, 불안정한 이들을 지원하는 것 만큼이나 경찰을 지원하는 건 중요합니다. 다른 예산에서 끌어오거나, 더 많은 세금을 걷어야지, 경찰 예산삭감으로 반정부적인 상태를 지향하는 생각은 그들의(글로벌리스트) 생각과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jaekyung9410/223754465938

 

영란은행을 무너뜨린 남자" 조지 소로스의 투자 전략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 조지 소로스 조지 소로스는 현대 금융계에서 입니다. 그는 퀀텀 펀드를 ...

blog.naver.com

 

그가 잘하는 것은 공매도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알죠. 자금력이 없으면, 공매하는 세력들로부터 쉽게 금전적 손실을 입기 쉽습니다. 수없이 하락하는 상황을 만들고, 그에 따른 차익을 가져가는 집단이니깐요. 반면에 올라갈때는 지난 게임스탑 때도 그랬지만, 공매 세력을 보호하기 위해 로빈후드의 매수버튼을 없애는 행위를 하는 조작도 합니다.

 

이게 음모론인가요? 사실을 바탕으로 발생한 일에 대해 누군가 이득을 보았다면 그 세력이 누구이고 배후에 누가 있을지 생각해 보는것이 합리적 추론입니다.

 

https://blog.naver.com/anadict/223649453957

 

미국의 급진 사회주의자 조지 소로스의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미국 애국법 폐지, BLM흑인폭동지

추가로 밝혀진 사실! 조만장자 조지소로스는 자신의 돈을 BLM 등에 준게 아니라 미국민의 세금으로 운영...

blog.naver.com

 

미국의 애국법 폐지, BLM 흑인폭동지원 등 이것이 옳바른 그의 행동으로 보시나요?

 

 

 

https://www.radiokorea.com/news/article.php?uid=418965

 

일론 머스크, 조지 소로스 맹비난 “인류 싫어해”

정확하고 빠른 뉴스 라디오코리아 뉴스

www.radiokorea.com

 

 

2023년도에 일론머스크는 소로스에 대하여, 문명 파괴를 원하는 사람이라고 표현했죠. 

 

심지어 그는 USAID를 통해서 기부를 했다고 합니다. 즉 국가 돈을 바탕으로 했다는 거죠. 

 

 

그런데 잘 보세요...

 

이 소로스가 대선후보자 누구를 지원했는지.

 

그동안 버락 오바마, 힐러리 클린턴, 조 바이든 등 민주당 대통령과 대선후보들이 그의 후원금을 받아왔다.